안녕하세요. 요새 갑자기 유튜브에 자주 나오는 Chil guy 라는 단어
그리고 어딘가 여유로워 보이는 캐릭터 한번쯤 보신 적 있으시죠?
오늘은 해외에서 갑자기 유행해 한국에서도 인기가 많아진 Chill guy라는 밈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Chill guy는 위에 보이는 유튜브 영상의 캐릭터를 의미하는데요.
해당 영상에선 When people ask you why you left for 7 months but you were low-key busy being a Chill Guy
라고 적혀져 있는데 한국어로 해석하면 '사람들이 왜 7개월 동안 떠났냐고 물었지만, 당신이 칠 가이로 지내느라 바빴을 때'
라는 의미입니다.
쉽게 말해서 요즘 현대인들은 바쁘게 일상을 보내면서 주말에 어떤 행위를 했는지에 대해 집착하며 서로 자랑하면서 살지만
Chill guy라고 불리는 저 캐릭터는 좀 여유로워 보이고, 낙관적이고 그냥 흘러가는 대로 산다 뭐 이런 의미 아닐까요?
2024년 후반 필립 뱅크스(@PhillipBankss)라는 사람이 업로드한 캐릭터를 중심으로 낙관주의를 표방하여
퍼지고 있는 인터넷 밈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원래는 2023년 10월에 업로드했는데 1년이 지난 2024년 틱톡에서 갑자기 유행이 되어 밈이 되었고
11월에 칠가이라는 밈코인이 새로 되면서 한번 더 유명해졌다고 합니다.
Chill Guy의 특징
Chill Guy는 청바지, 스웨터를 입고 캔버스 운동화를 신은 수인 캐릭터(캥거루 또는 카피바라 형태)로, 항상 청바지 주머니에 손을 넣고 특유의 킹받는 미소를 짓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 밈이 본격적으로 퍼지게 된 것은 TikTok에서 일상적인 상황을 설명하는 영상 형식으로 활용되기 시작하면서부터인데요. 주인공이 목소리 없이 화면에 띄운 자막만으로 자신의 상황을 표현하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표절 논란과 해명
2024년 12월 25일, 레딧의 한 유저가 베트남의 아동 잡지 표지에 나온 개의 얼굴이 Chill Guy의 원본이며, 필립 뱅크스가 이를 표절했다는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개의 머리를 Chill Guy 캐릭터에 붙이면 상당히 유사하며 옷 주름까지도 같다는 주장이었죠.
하지만 해당 베트남 어린이 잡지 Học trò cười의 883호가 Chill Guy가 등장한 이후인 2024년 12월 말에 출판되었고, 표지 디자이너 역시 Chill Guy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 맞다고 밝히면서 논란은 종결되었습니다. 즉, 오히려 해당 잡지가 Chill Guy를 패러디한 것이었죠.
Chill Guy와 암호화폐 논란
Chill Guy가 인기를 얻으며 암호화폐 관련 밈 코인까지 등장했지만, 필립 뱅크스는 자신의 캐릭터가 암호화폐로 사용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이후 그는 자신의 X 계정을 비공개로 전환하며 거리를 두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Chill Guy의 유행과 한국에서의 인기
미국, 영국, 일본, 베트남 등 여러 국가에서 유행한 이 밈은 한국에서도 점점 확산되고 있습니다. 특히 2025년 설날 즈음부터 인터넷 방송인들이 이 밈을 활용하기 시작하면서 본격적으로 유행을 타기 시작했죠.
특히 한국에서는 'Chill'과 '칠(7)'의 유사성을 이용한 언어유희가 많이 쓰이면서, 숫자 '7'을 'Chill'로 치환하는 방식이 자주 보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Chill한 하루', '진짜 Chill하네', 심지어 '칠리소스'나 '칠칠맞다' 같은 단어에서도 '칠'을 'Chill'로 바꿔서 쓰는 경우도 있죠.
또한, Chill Guy의 하루를 패러디한 영상들이 커뮤니티에서 많이 공유되며, 유튜브 썸네일이나 인터넷 방송 제목에서도 점점 많이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에서의 유행이 설날을 기점으로 시작된 만큼, 설날 인사를 Chill Guy 밈을 활용해서 하는 경우도 늘고 있습니다.
결론
결국 Chill Guy는 단순한 캐릭터를 넘어, 현대인들의 바쁜 삶 속에서 **'여유와 낙관을 즐기는 태도'**를 상징하는 하나의 밈이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들 너무 바쁘게 살지 말고, 가끔은 Chill Guy처럼 여유롭게 살아보는 것도 좋지 않을까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텔프 레벨2 큐넷에서 50% 할인쿠폰 받는 방법 (36,000원으로 접수) (0) | 2025.04.14 |
---|---|
1달 소비기한 지난 라면, 먹어도 되는지 직접 찾아봤습니다. (0) | 2025.02.02 |
댓글